프로그래밍 공부

vim 에디터 세팅을 해보자.

Seashark 2018. 6. 1. 13:00

리눅스에서 vim 에디터 세팅을 해보자. 


리눅스에서 프로그래밍을하거나 OS를 손보게 되면 가장 많이 쓰게되는 에디터가 바로 vi 입니다. 물론 취향에 따라 다른 에디터를 쓰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제가 vim 를 쓰기때문에 vim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이미지는 아무 세팅을 안한 vim 에디터로 코드를 작성한 모습입니다. 아무런 하이라이트, 자동 인덴트 줄 번호등 아무 세팅이 안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쓰는 세팅을 쓰면 ..



이렇게 컬러풀하고 인덴트도 되어있고 줄번호도 보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런 세팅을 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vim에디터에 세팅을 적용시키려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가셔서 .vimrc라는 파일을 만드시면 됩니다. 경로는  "~/.vimrc" 가 되고 sudo vi ~/.vimrc 라고 치면 어디서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빈 파일이겠지만 위에 이미지처럼 몇가지 명령어만 넣어주면 세팅을 완료 할 수 있습니다.


1: se nu         vim에 줄 번호를 나타내 줍니다.

2: syntax on  파일의 확장자에 따라 자동으로 키워드 들을 하이라이트 해줍니다. 확장자가 c 면 c,    cpp면 c++ 키워드를 자동으로 적용 시킵니다.

3: set ts=4    텝을 눌렀을때 몇칸을 갈지를 설정합니다. 숫자 1은 스페이스바 1칸입니다.

4: set shitwith=4  오토 인덴트를 했을때 한번에 몇칸을 갈지를 나타내줍니다.

5: set ai        오토 인덴트를 시켜줍니다.


이 명령어들 말고 훨씬 많은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구글링을 해보시면 더 많고 복잡한것들도 세팅이 가능하니 필요하신것들을 찾아 깨끗하고 편한 vim환경을 구축해서 쓰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