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4

[Python]파이썬 기본문법4 문자열의 기초4

문자열의 마지막 내용으로는 슬라이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슬라이싱한다고 하면 1편에서 배운 인덱싱을 사용하여 어떤 범위의 문자열들을 짤라내는것을 의미합니다. 슬라이싱이라는 기법없이 인덱싱되어있는 문자열만을 가지고 단어를 뽑아내려면 여간 귀찮은게 아닙니다. 인덱싱을 통하여 해당 인덱스도 알아내야하고 그 이후에 하나하나 다 출력해야합니다. 12345678a = 'My life for Auier' # 0 1 # 01234567890123456' 인덱싱 표시list1 = [12,13,14,15,16]b=''for i in list1: b=b+a[i] print(b) cs더 보기 쉽게 할 수 있지만 루프를 연습하기 위해서 ... 인덱스 12번부터 16번까지를 새로운 스트링 b로합쳐서 출력하는..

[Python] 파이썬 기본문법3 문자열의 기초3

오늘은 문자열에 관한 내용중 포맷코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켓코드는 C를 다뤄본 사람들이라면 익숙한 문법입니다. 포멧코드는 기본적으로 문자열 사이에 변수를 넣어두는 형식으로 변수는 그때그때 값에따라 보여지는것이 달라집니다. 일단 코드부터 보시겠습니다. string3.py 코드 1~4행은 세가지 포멧코드 초기화 입니다. strS --> 문자형 (string) 포멧 strD --> 정수형 포멧 strF --> 부동소수형 포멧 4행은 나중에 몇가지 테스트를 위한 3.131592로 초기화한 변수입니다. 8행부터 11행까지는 문자형 포멧코드 사용예시입니다. print(strS%'String1') 이 문장은 print('This format is s %s' %'String1')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는데..

[Python] 파이썬의 기본분법2 문자열의 기초2 (문자열 더하기, 곱하기)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서 문자열을 다루는 함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트에는 기본적으로 프린트, index, 길이 등 문자열 그 자체에 대한 함수들 이었다면, 이번포스트는 그 문자열들을 어떻게 쓸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자열 관련 간단한 코드 코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13행까지는 str1~5 까지 초기화및 프린트 입니다. 지난번과 완전히 똫같습니다. 하지만 지난번과 다른점은 프린트 할때 %s부분입니다. %s 는 문자열에 문자열 형의 변수를 대입할때 쓰는 변수(?) 입니다. print('str1 = %s' %str1) 이 명령은 %s에 %다음에 나오는 문자열형 변수를 대입하라 이런뜻입니다. print('str1 = ') + print (str1) 이 명령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

[Python] 파이썬의 기본분법2 문자열의 기초1

개인적으로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가장 강력한 기능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바로 문자열이였습니다.c 계열의 언어를 공부할때는 기본적인 세팅에서는 문자열 관련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지 않았습니다.이번 포스트는 그 문자열의 기초인 문자열을 만들고 프린트 하는법, 문자열의 길이, 인덱스, 바꾸기 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번 포스트에서는 문자열의 다른 함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함치기, 나누기, 스플릿 등등..) String 사람과 대화를 해야하는 프로그래밍상 문자열은 아주 중요한 자료형입니다. 문자, 단어, 숫자등으로 이루어진 이 자료형은 string 이라고 불립니다. 프로그래밍을 배우다보면 대부분 이 문자열을 쓰는법에서 고생을 하게되는데 파이썬은 다른 언어들에비해 아주 편리한 기능들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