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지난번에 이어서 문자열을 다루는 함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트에는 기본적으로 프린트, index, 길이 등 문자열 그 자체에 대한 함수들 이었다면, 이번포스트는 그 문자열들을 어떻게 쓸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13행까지는 str1~5 까지 초기화및 프린트 입니다. 지난번과 완전히 똫같습니다.
하지만 지난번과 다른점은 프린트 할때 %s부분입니다.
%s 는 문자열에 문자열 형의 변수를 대입할때 쓰는 변수(?) 입니다.
print('str1 = %s' %str1) 이 명령은 %s에 %다음에 나오는 문자열형 변수를 대입하라 이런뜻입니다.
print('str1 = ') + print (str1) 이 명령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s는 문자열 형이지만 %d, %f 같이 다른 형을 쓰게되면 각각 정수, 실수 와 같이 다른 형으로 대입이 가능하게 되는데 다음번에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 변수의 대입 개념은 뒤에나올 문자열의 더하기 개념과 같이 쓰면 아주 쉽게 문자열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16행에서 25행 까지는 문자열의 더하기와 곱하기를 다룬 내용입니다.
17행의 print('str1 = %s' %str1+str2) 이 명령은 %s 자리에 str1+str2의 반환값을 대입하라는 의미겠죠?
그럼 중요한것은 str1 + str2 의 반환값인데요.. 모두가 예상하듯 str1 문자열에 str2를 합해서 반환하라 입니다.
str1 = 'hello ' (hello 다음에 띄엇쓰기 한칸이 있습니다.)
str2 = 'world'
고로 str1+str2의 반환값은 바로 'hello world' 입니다.
그 다음 항목인 곱하기는 더 쉽습니다...
더하기와 달리 곱하기는 숫자를 뒤에 곱해줌으로 몇번을 반복해서 반환하라 라는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str1 = 'hello '
str1*3의 반환값은 'hello hello hello ' 가 됩니다.
밑에 이미지의 결과값들을 보시면 잘 표현되어있습니다.
다음포스트 에서는 문자열의 포멧코드 (%s등..) 에 관해 알아보고 그 다음 포스트에서는 마지막으로 슬라이싱, 대소문자, 문자추가 등 여러가지 유용한 함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 공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파이썬 기본문법4 문자열의 기초4 (0) | 2018.06.21 |
---|---|
[Python] 파이썬 기본문법3 문자열의 기초3 (0) | 2018.06.14 |
[Python] 파이썬의 기본분법2 문자열의 기초1 (0) | 2018.06.11 |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2편 기본 개념 (0) | 2018.06.11 |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1편 기본 개념 (0) | 2018.06.09 |